"로레알을 써요, 난 소중하니까요"라는 광고 멘트 익숙하신가요? 오늘 포스팅의 주인공은 바로 세계적인 화장품 기업 로레알입니다. 로레알은 뉴스위크가 선정한 2017 세계 500대 그린 기업에서 당당하게 1위를 차지했고, 글로벌 투자기관 코퍼레이트 나이츠(Corporate Knights)가 선정한 2020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100대 기업 중 98위를 차지하는 등 ESG 경영에 앞장서고 있는 대표 기업 중 하나입니다.

출처: L'Oreal

로레알 하면 하나의 브랜드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사실 로레알 산하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브랜드들이 많습니다. 위 사진은 로레알의 럭셔리 라인업(L'Oreal Luxe)에 속한 브랜드인데요, 랑콤, 키엘, 입생로랑, 바이오더마, 슈에무라 등 익숙한 이름들이 많이 보이시죠?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의 글로벌 기업 로레알은 어떤 방식으로 ESG 경영을 실천하고 있을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로레알의 지속가능경영 철학, 모두와 아름다움을 공유하다(Sharing Beauty With All)

로레알은 2013년 그룹 지속가능경영 프로젝트인 'Sharing Beauty With All'을 수립하고 상품 디자인, 유통, 생산과정, 원재료 조달 등 가치사슬의 전 단계에서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하지만 지속가능성이란 단순히 원료를 식물추출물로 변경하는 것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었죠. 2020년 기준 매출액 280억 유로(약 37조 6,500억 원), 종업원 88,000명에 달하는 거대 기업 로레알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해서는 원재료 조달 방식부터 포장재에 사용되는 재료까지 다양한 분야를 고려해야 했습니다.

출처: L'Oreal

로레알은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핵심 분야 네 가지를 선정하고 각 분야의 목표를 선정했습니다. 먼저 혁신(Innovating) 분야에서는 신규 출시, 또는 리뉴얼된 모든 제품이 환경 및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했으며, 생산(Producing) 분야에서는 제품의 생산 및 운송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폐기물을 감축했습니다. 삶(Living) 부문에서는 로레알의 모든 제품들이 환경 및 사회에 끼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그 정보를 고객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했으며, 발전(Developing) 부문에서는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 공급업체 관리, 직원복지 향상 등 지역사회/공급업체/직원의 발전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통해 이러한 목표를 달성했는지,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속가능한 환경 조성의 첫걸음, 탄소배출량 감축

세계 500대 그린 기업에서 1위를 차지했던 로레알, 역시 환경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먼저 로레알은 202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60% 이상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를 위해 미국 켄터키 및 알칸사스에 위치한 생산시설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시설을 도입했으며, 댈러스의 물류센터에는 12개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를 빠르게 도입했습니다.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노력은 로레알 내부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일례로, 로레알 화장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 중 하나인 시어버터의 주 생산지는 부르키나파소입니다. 시어버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열매를 고온에서 볶아야 하는데, 나무를 베어 땔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년 약 10만 헥타르의 산림이 훼손되었습니다. 로레알은 부르키나파소의 노동자들을 교육시키고, 땔감을 사용하지 않는 스토브를 보급하여 산림 훼손을 막고 불을 피우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 배출도 감소시킬 수 있었죠. 

출처: L'Oreal

물류의 운송 방식에도 변화를 줬습니다. 로레알은 조사를 통해 전체 운송량 1%만을 담당하는 항공운송이 30% 이상의 탄소배출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항공 운송량을 줄여나가기로 했습니다. 또한 2003년 유럽에서 최초로 10톤 전기 트럭을 사용하는 등 친환경 차량을 사용해 도로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왔죠. 이런 노력에 힘입어 2005년부터 2016년 사이 로레알의 제품 생산량은 29% 증가했지만 동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69%나 감소했으며, 2020년에는 무려 81%까지 배출량을 감축하는 성과를 냈습니다.

 

 


플라스틱 포장재와의 전쟁

플라스틱 포장재는 로레알의 가장 큰 골칫덩이 중 하나입니다. 로레알의 브랜드에 사용되는 전체 포장재의 약 60%가량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8년 기준 그 양은 약 14만 톤에 달했습니다. 로레알은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고, 제품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는 환경발자국 중 약 50%가 포장재와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습니다. 로레알은 포장재의 개선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2025년까지 100% 리필 가능하고, 재활용 가능하며, 또는 분해되는 플라스틱 포장재만을 사용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목표 달성을 위해 로레알은 3R(Respect, Reduce, Replace)을 내세웠습니다. 먼저 Respect는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생물다양성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이를 위해 화장품 내용물과 직접 닿는 포장재는 식품 포장용(Food grade) 기준을 준수하고 있으며 포장재에 사용되는 PVC를 모두 퇴출시켰습니다. Reduce는 말그대로 포장재의 양이나 크기를 줄이겠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더불어 리필을 활성화하여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Replace는 포장재의 재료를 대체하는 것으로, 포장재에 친환경 PCR(Post-Consumption Recycled) 플라스틱 또는 재생가능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출처: L'Oreal

플라스틱 포장재 감축의 일환으로 로레알은 2019년 알베아와 함께 세계 최초로 종이 기반의 포장용 튜브를 개발했습니다. 로레알은 실제로 2020년 이 포장재를 사용한 제품들을 출시하며 탈 플라스틱을 향해 나아가고 있죠.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로레알은 2019년 새 플라스틱(Virgin Plastic)과 같은 재활용되지 않은 물질의 사용을 약 13,000톤가량 줄일 수 있었습니다.

 

 


더 나은 삶을 위한 아름다움(Beauty For a Better Life)

로레알은 지역사회, 특히 여성 지원에 앞장서온 기업 중 하나입니다. 물론 화장품산업의 주요 고객이 여성이기도 하지만, 주력 제품인 뷰티 제품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이 여성들이 더 나은 삶을 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죠. 로레알의 여성 지원 프로그램인 'Beauty For a Better Life'는 이러한 믿음에서 시작됐습니다.

로레알은 먼저 헤어 및 메이크업 기술 교육에 나섰습니다. 세계 25개국에서 펼쳐진 이 무료 직업 교육에는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한 여성, 가정폭력 피해자, 청년 노숙자 및 중퇴자 등이 참여했으며 2018년 기준 총 5,565명이 이 교육을 통해 취업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출처: L'Oreal

또한 로레알은 전문 테라피스트를 양성했습니다. 전문 테라피스트들은 외모(질병, 사고, 노화 등), 심리, 또는 사회적 문제로 인해 인해 심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뷰티 트리트먼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환자의 경우 치료 과정에서 탈모, 홍조, 건성 피부와 같은 문제를 맞닥뜨리게 되는데요, 로레알의 전문가들은 암환자들에게 이러한 외모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언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범죄에 노출되거나 실직 등 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뷰티 또는 헤어 강좌, 이미지 변화 조언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죠. 로레알은 2017년 기준 약 15,000명에게 전문 테라피스트를 통한 도움을 제공하며 사회적 약자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로레알의 ESG 경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특히 로레알이 장기적이고 모호한 목표가 아니라 단기적이고 확실한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실제로 로레알의 지속가능 프로그램인 Sharing Beauty With All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진행됐습니다. 타 기업들이 20년 후, 30년 후 목표를 세우는 것에 비해 굉장히 단기적임을 알 수 있죠. 그럼에도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며 목표대비 달성률을 공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노력을 인정받아서일까요? 로레알은 대표적인 ESG 평가기관 MSCI부터 5년 연속 최고등급인 AAA를 받는 등 화장품 업계의 ESG 경영 선두주자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최근 로레알은 2030년까지 진행할 새로운 지속가능 프로그램인 'L'Oreal for the future'을 발표했는데요, 앞으로 10년간은 또 어떤 놀라운 변화를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참고자료
How L’Oréal Is Turning Itself Into A Sustainability Leader(Fast Company, 2017)
L'Oreal Sustainability Report 2020(L'Oreal, 2021)
L’Oréal accelerates the shift to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usiness model by 2030(Medium, 2020)
Sustainable sourcing: a pilot project for L’Oréal and OLVEA in Burkina Faso(Strategist, 2018)
Foundation L’Oréal(www.fondationloreal.com)
L’Oréal(www.loreal.com)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기획운영팀 안나래

흔히들 "좋은 일 하는 건 돈이 안돼"라고도 말하듯이 착한 기업과 돈벌이는 조금 동떨어져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데도 미디어에서는 ESG 경영을 하면 착한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적 가치가 올라간다고 말하고 있죠. 그렇다면 ESG 경영이 어떻게 기업가치를 상승시키는 걸까요?

 


'착한 기업'이 성장률도 착하다

과거에는 ESG와 기업가치간의 상관관계를 찾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에 기업도, 이해관계자들도 ESG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근래 들어 인터넷의 발달로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은 기업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전처럼 단순히 기업에서 발표하는 보도자료, 재무적 정보를 받아보는데서 벗어나, 인터넷 어디서든 기업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된 것이죠.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활용해 착한 기업은 더 팔아주고, 나쁜 기업은 불매운동에 나서는 등 재무적 성과에 집적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최근 이러한 ESG와 재무적 성과간의 상관관계를 밝혀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실제 ESG와 같은 비재무적 정보를 고려한 투자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1970년대 이후 발간된 2,000여 건의 연구 분석 결과 약 90%에서 ESG가 기업 재무적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기업 운영 성과에 대한 연구 중 88%가 ESG를 고려한 경우 더 나은 운영 성과를 보여준다는 결론을 제시했습니다. 2019년 뱅크오브아메리카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ESG점수가 높은 상위 20% 기업과 하위 20%간 가치 프리미엄(Valuation Premium)이 5배 이상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 지표로 활용되는 ESG

ESG가 가장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곳은 바로 금융투자 업계입니다. 매출이나 순이익 등 재무적 성과만을 평가하고 투자처를 찾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위의 사례처럼 ESG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업 가치 및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라는 인식이 확대됐기 때문입니다. 일례로 세계 최고의 투자운용사 블랙록의 회장인 래리 핑크(Larry Fink)는 2020년 "기후변화는 회사 장기 전망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며 "석탄 화력을 생산·제조하는 기업의 주식을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해 팔아버리겠다"고 선언하며 ESG 투자를 가속화했습니다.

세계 각국의 기관투자자들도 ESG 투자에 앞장서는 추세입니다. ESG에 반하는 기업(무기, 환경오염, 아동착취 등)들을 투자에서 배제하는 네거티브 스크리닝(Negative Screening), 혹은 우수한 ESG 성과를 내는 기업에 투자하는 포지티브 스크리닝(Positive Screening)전략을 앞세워 ESG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유럽투자은행(EIB)은 2022년부터 화석연료 관련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기로 했으며, 노르웨이 국부펀드도 석탄관련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제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내에서는 국민연금이 2022년 말까지 전체 자산의 50%를 ESG 기반에 투자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처럼 ESG등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한 투자가 확대되자 기업에서도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ESG 리스크를 집중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글로벌 리스크 리포트(Global Risks Report)에 따르면 10년 전의 글로벌 리스크는 재무적 리스크 중심이었으나, 근래에는 환경 및 사회 등 비재무적 리스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ESG와 기업의 장기적 성장,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즉 ESG가 잘 관리되는 기업은 위와 같은 비재무적 글로벌 리스크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실제로 ESG가 잘 관리되면 횡령, 부패 등과 같은 부정적 사건을 겪을 가능성이 낮으며, 에너지 효율이 높은 기업은 기후변화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폭등해도 타 기업에 비해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ESG 경영을 통해 기업은 리스크를 관리하며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자금 조달이 원활해짐과 동시에 장기적인 기업 가치 상승을 달성할 수 있는 것입니다.

 


기업 가치의 새로운 기준, ESG 등급

그렇다면 기업이 ESG를 잘 실천하고 있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바로 ESG등급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해외에서는 이미 많은 기관들이 ESG 평가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가장 잘 알려진 기관은 MSCI와 FTSE, S&P가 있습니다.

출처: MSCI

대표적으로 MSCI의 평가기준을 알아보면 총 7단계로 구성된 등급을 공시합니다. CCC·B등급은 정체, BB·BBB·A등급은 평균, AA·AAA등급을 리더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등급 공시는 어떻게 이뤄질까요?

출처: MSCI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코카 콜라를 예시로 검색해봤습니다. 코카콜라의 등급은 AA로, 7개 등급 중 두번째에 해당하는 성적이네요. 5년 전에는 A등급이었지만 2019년부터 AA로 상승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음료 산업군 내에서 각 등급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도 나와있습니다.

출처: MSCI

또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산업군 내에서 해당 기업이 어떤 점을 잘하고 있는지, 어떤 점을 못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위 사진을 보면 코카콜라는 음료 산업군 내에서 지배구조, 포장재, 탄소발자국, 안전 분야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지만 영양 및 건강 분야에서는 뒤쳐지는 것으로 평가받았네요.

 

국내에서도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서스틴베스트, 대신경제연구소 등에서 ESG 평가등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평가를 살펴볼까요?

출처: 한국기업지배구조원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는 이처럼 각 기업의 종합 ESG등급과 더불어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 부문의 등급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MSCI처럼 세부적인 평가 정보는 공개되어 있지 않지만, 충분히 직관적인 정보라고 생각됩니다. 이 외에도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피치(Fitch Ratings) 등은 ESG 평가 결과를 신용 등급에 일부 반영하고 있다고 하니 ESG 평가가 단순히 비재무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 상황에 대한 평가에까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ESG 평가를 통해 기업은 경영 전략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발전 방안을 수립할 수 있으며, 이해관계자들은 이 기업이 '착한 기업'인지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할만한 곳인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앞다투어 ESG 경영에 나서는 기업들

ESG 경영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자 국내 기업에서도 이에 맞춰 ESG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경영 전략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볼까요? 삼성전자는 기존 경영지원실 산하에 운영해 온 지속가능경영사무국을 CEO 직속의 지속가능경영 추진센터로 격상시켰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현대모비스는 기존 투명경영위원회를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확대·개편하고 ESG 정책 및 계획, 주요 활동 등을 심의, 의결할 계획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등 IT 기업에서도 ESG 경영 강화에 나섰습니다. 카카오는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관리·감독하는 ESG위원회를 신설했으며, 네이버는 이사회 내 ESG 위원회를 신설한 데 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 산하에 ESG 전담조직을 마련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움직임은 ESG중 G(Governance)에 해당하는 지배구조 변화를 통해 환경, 사회 이슈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하기 위함으로 풀이됩니다. ESG 트렌드에 따르지 않으면 대출길이 막히거나 투자를 받지 못하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현 상태를 볼 때, 전담조직 신설은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기 적합하기 때문에 한동안 전 산업계에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ESG와 기업 가치, 조금은 어려우셨나요? 쉽게 요약하자면 비재무적 리스크가 확산되는 현 상황에서 기업은 ESG 경영을 통해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고, ESG 등급 등 객관적 평가를 통해 가치투자를 이끌어내며 장기적인 기업가치 증가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ESG경영을  잘하는 기업이 재무적 성과도 좋다는 것이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는 점이죠. 즉, 기업의 성과와 ESG 경영은 절대 떼놓고 생각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개념과 현황 중심으로 ESG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부터는 해외 사례를 통해 ESG 경영, ESG 활동이 어떤 것인지 더 쉽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보다 앞서 ESG에 관심을 가졌던 해외 기업들은 어떤 활동을 해왔는지, 앞으로 계속될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참고자료
ESG의 부상, 기업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삼정KPMG, 2021)
ESG와 기업의 장기적 성장(한국기업지배구조원, 2020)
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커뮤니케이션(딜로이트, 2018)
ESG 안 하면 밀려나…기업의 운명까지 바꾸는 시대 됐다(뉴스원, 2020)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 "석탄 회사서 돈 뺀다"(머니투데이, 2020)
ESG를 투자 기준으로 삼는다...ESG란? ESG정의, 필요성, 사례(문화뉴스, 2021)
[2021 환경제 키워드 ⓛ] ESG 평가 좋은 기업, 수익률도 더 높을까?(그린포스트코리아, 2021)
재계에 분 'ESG 경영' 바람…지배구조 개혁 '속도'(아이뉴스24, 2021)
SCMI(www.msci.com)
한국기업지배구조원(www.cgs.kr)

제주폐가살리기사회적협동조합
기획운영팀 안나래

+ Recent posts